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행과 열을 가지는 표 형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가리키며 SQL이라는 언어를 써서 조작합니다.
흔히 알고있는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MySQL과 PostgreSQL이 있습니다.
- MySQL: 대부분의 운영체제와 호환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PostgreSQL: SQL뿐만 아니라 JSON을 이용해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 ACID를 준수하므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ACID의 대한 내용은 https://kdgdev.tistory.com/16에있습니다.
- 중복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쉽고 빠릅니다.
- 명확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에러가 적습니다.
- 단점
- 유연하지 못해 스키마가 변경될 때 번거롭습니다.
- 설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 하드웨어의 성능을 올려야하는 수직적 확장만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 ex) RAM 소켓의 제한이 있는 것
다음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좋은 환경입니다.
- 데이터가 자주 변경되는 경우 업데이트가 빠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좋습니다.
- 명확한 스키마와 구조, 데이터 무결성이 사용자와 데이터에게 중요한 경우 좋습니다.
'CS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덱스의 정의 (0) | 2023.02.27 |
---|---|
NoSQL(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0) | 2023.02.17 |
트랜잭션 (0) | 2023.02.08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1) | 2023.02.01 |
데이터베이스 기초 (1)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