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네트워크

OSI 7계층

by KDGdev 2023. 2. 23.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과정으로 나눈 것 입니다.

 

물리적이 아니라 개념적으로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으로 7계층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계층만 고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TCP/IP 4계층과 같이 응용 서비스를 수행합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 코드를 번역하여 상이한 데이터의 형식을 맞춰주는 계층입니다.
  • 인코딩이나 암호화등의 동작, 데이터의 형식을 구분합니다.
  • 응용프로그램 형식을 네트워크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네트워크 형식을 응용프로그램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세션 계층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논리적인 연결 상태인 세션을 설정, 유지, 종료, 전송 중단시 복구하는 계층입니다.
  •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동기화를 유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동기점을 설정하여 송수신 중 오류가 발생하면 동기점 이후부터 다시 재전송할 수 있습니다.
  • 반이중 방식, 전이중 방식의 전송 모드를 설정합니다.
  • 쉽게 말해 통신을 관리하는 계층입니다.

 

전송 계층

  • 세션 계층이 통신을 관리한다면 전송 계층은 통신을 활성화 하는 계층입니다.
  •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 TCP/IP 4계층과 마찬가지로 TCP, UDP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계층

  • 주소에 따라 경로를 선택하고 패킷을 전달해주는 계층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입니다.
  • 물리 주소인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합니다.

 

물리 계층

  • 전기적, 기계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전선, 광섬유, 무선 등의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잘못된 정보, 혹은 다른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말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