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메모리2

가상 메모리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가상 메모리란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실행에 필요한 일부(페이지)만 메모리에 로드하고 나머지는 디스크에 둠으로써 컴퓨터가 실제로 이용 가능한 메모리 자원을 매우 큰 메모리로 보이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https://kdgdev.tistory.com/18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에 있습니다. 핵심은 프로세스의 전부를 메모리에 올려 두는 게 아닌 프로세스를 페이지로 나누어 필요한 페이지만 메모리에 올려놓는 것입니다. 여기서 사용하지 않는 페이지는 보조기억장치에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주기억장치에 올려놓는 것이 가상메모리가 사용하는 '스와핑'이란 기법입니다. 자, 그런데 여기서 가상메모리에서 '스와핑'은 많이 일어나서는 안됩니다. CPU에서 필요한 페이지 요청 -> TLB확인 -> 주기억.. 2023. 2. 12.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란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실행에 필요한 일부(페이지)만 메모리에 로드하고 나머지는 디스크에 둠으로써 컴퓨터가 실제로 이용 가능한 메모리 자원을 매우 큰 메모리로 보이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가상 메모리는 TLB와 Page Table를 통해 필요한 페이지에 접근합니다. TLB은 가장 최근에 접근한 페이지의 가상주소와 물리주소, 페이지 테이블은 각각의 프로세스마다 프로세스가 가진 모든 페이지의 가상주소와 물리주소가 존재합니다.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 메모리와 CPU 사이에 있는 주소 변환을 위한 캐시입니다. Page Table에 있는 리스트 중 일부를 보관하며 CPU가 페이지 테이블까지 가지 않도록 해 속도를 향상할 수 있는 캐시 계층입니다. Pag.. 2023.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