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6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로 IP 주소로 부터 MAC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입니다. 컴퓨터 간의 통신은 IP 주소에서 ARP를 통해 MAC 주소를 찾아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입니다. 내부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를 찾을 때 스위치에서 호스트들에게 본인의 주소를 포함하여 ARP Request 브로드캐스트를 보냅니다. 그 후에는 찾고있는 IP에 해당하는 host가 받은 주소로 MAC주소를 반환합니다. ※ 잘못된 정보, 혹은 다른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말해주세요. 감사합니다. 2023. 3. 7.
OSI 7계층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과정으로 나눈 것 입니다. 물리적이 아니라 개념적으로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으로 7계층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계층만 고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TCP/IP 4계층과 같이 응용 서비스를 수행합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코드를 번역하여 상이한 데이터의 형식을 맞춰주는 계층입니다. 인코딩이나 암호화등의 동작, 데이터의 형식을 구분합니다. 응용프로그램 형식을 네트워크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네트워크 형식을 응용프로그램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세션 계층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논리적인 연결 상태인 세션을 설정, 유.. 2023. 2. 23.
4-웨이 핸드셰이크(4-way handshake): 연결 해제 과정 4-웨이 핸드셰이크 TCP/IP의 전송계층에서 연결지향인 TCP를 사용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3-웨이 핸드셰이크라고 합니다. 연결을 활성화하는 과정은 아래의 링크를 들어가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kdgdev.tistory.com/13 연결 해제 과정 위 그림과 같이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과정에서 총 네 번의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4-웨이 핸드셰이크라고 합니다. 네 번의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라이언트가 close()를 통해 연결을 해제하려고 하면 서버에게 연결을 종료한다는 FIN 세그먼트를 보냅니다. 이를 확인한 서버는 FIN 세그먼트를 받았다는 응답으로 ACK를 보내고 CLOSE_WAIT .. 2023. 2. 4.
3-웨이 핸드셰이크(3-way handshake) - 연결 성립 과정 3-웨이 핸드셰이크 TCP/IP의 전송계층에서 연결지향인 TCP를 사용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3-웨이 핸드셰이크라고 합니다. 연결 성립 과정 위 그림과 같이 연결을 위한 과정에서 총 세 번의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3-웨이 핸드셰이크라고 합니다. 세 번의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임의의 시퀀스번호가 담긴 세그먼트를 보냅니다. (SYN, seq=x) ※세그먼트란 전송계층 중 TCP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명칭입니다. 이를 확인한 서버는 마찬가지로 임의의 시퀀스번호와 Ack number를 받은 x값의 1을 더한 숫자로 설정하고 받았다는 신호인 ACK와 SYN을 보냅니다. (SYN, ACK, ack=x+1, seq=y) 클라이언트는 이 세그먼트를 받.. 2023. 2. 4.